good try
몇 년 전 캐나다에 오자마자 작은아이가 학교에서 스펠링 테스트를 했나보다. 딴에는 익숙치도 않은 선생님의 소리를 듣고 뭐가뭔지 모르지만
얼추 비슷한 알파벳으로 꿰어맞춘 다 틀린 쪽지 시험지. 귀퉁이에 적힌 선생님의 코멘트 'good try'를 보고 난 폭소를 터뜨렸다.
그땐 나도 그게 선생님의 위트인줄 알았다. 맞게 쓴건 하나 없지만 빈종이를 내지않고 또박또박 뭐라도 쓰려 애쓴 정성이 갸륵해서 가차없이 0 아래 밑줄 두개 그어 내어주는 대신 '대략난감'을 돌려말한 것으로 이해했다.
그런데 그 후, 이 말은 꽤 많이 쓰이는 말이라는 걸 알게됐다.
아들의 야구 시합중, 팀에 민폐를 끼치게 될 상황에서 누군가 헛스윙을 하다 삼진아웃을 당하거나 뻔히 눈앞의 공을 놓치거나 하면
내 속에선 '아휴 저런 븅...' 이 나오려는 찰나 동시에 어디선가 터져나오는 소리가 꼭 있다. 'good try~'
누구보다 앞서 두각을 나타내고 무조건 이기는게 미덕인 풍토에서 살며 이에 비판적이었으면서도
슬그머니 뒷머리를 긁적거리고 싶어지는 순간을 여러차례 겪고 나서야 나도 아이들의 실수 투성이 'good try'에 너그러워 질 수 있었다.
하긴 뭘 어쩌겠나. 제딴엔 잘 해보려 한걸. 그걸 왜 그렇게 못했냐 다그쳐봐야 될 일인가.
실수가 두려워 아예 시도조차 안하는 것보다 해보고 실패하고 그를 통해 배워가는 삶, 아이들은 자라면서 그걸 체험해 봐야 하지 않나.
아이 때만이 아니라 사는 동안 어찌 속시원한 결과만 볼 수 있겠는가. 아니 어찌보면 인생 자체가 그러한지도 모르지.
나는 이담에 묘비명을 Good try로 해볼까나. 탁월한 능력에서든 살신성인의 희생으로든 세상을 바꾸는 일이 아닌바에야
길가에 핀 들꽃같은 인생엔 그것밖에 뭐가 있나. 내 깜냥껏 선한 의지를 바탕으로 한 good try 밖에는.
팀홀튼이 매년 하는 이벤트 기간중에 내게 가장 많이 충고해주는 말도, try again...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여워하지 말라던 푸쉬킨의 말을 받아 나는 이렇게 말할밖에.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여워하지 말라. 다만 good 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