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차장에 세워놓은 비싼 차를 고의로 때려 부수었다면 마땅히 비싼 값을 물어주어야 할 테지만, 도로라는 공적인 공간에서 대등한 자격으로 운행하다가 발생한 사고에서 배상액이 이처럼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을 나는 긍정할 수 없었다. 도로에는 주인이 없는데 아파트 한 채 값에 해당하는 비싼 차를 공적인 공간으로 몰고 나와서 다른 운전자들을 심리적으로, 공간적으로, 경제적으로 압박하는 행위에 대한 책임이나 세금은 왜 없는가. 동일한 과실에 대해서 어째서 배상액은 이처럼 차이가 나는가.
도로의 공적 개방성은 무엇이고, 도로에서 비싼 차는 우월적 지위를 갖는가.도로교통법과 시행령을 다 찾아보았으나 해답을 찾을 수가 없었다. 아는 몇몇 법률가에게 물어봤더니, 복잡한 법률이론과 보험이론을 들이대면서 나의 질문은 성립할 수 없고, 내 생각은 틀렸다고 말했다. 이 짧은 글도 신문사에 보내지 말라고 그랬다. 이래서 나는 세상을 이해하지 못하고, 짜증만 난다.작가
'넘의글 갈무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정함이 세상을 구한다 -윤단비 (0) | 2023.02.13 |
---|---|
[로버트 파우저, 사회의 언어] ‘원어민주의’ 시대 막을 내리면서 (0) | 2023.01.19 |
[김누리 칼럼] 거대 위기와 새로운 정치 (0) | 2022.07.14 |
사카모토 류이치 (0) | 2022.07.14 |
이진경 인터뷰 중에서 (0) | 2022.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