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참 전에 동네 도서관에서 판다고 내놓은 책더미속에서 1달러주고 사뒀던 The Reader (Bernhard Schlink 지음)를 오래걸려 다 읽었다.
내게 이 책이 특별한 이유, Hanna에게서 나를 발견하기 때문이다. 글을 모르는 Hanna가 어떻게든 그 사실을 감추고 싶어하는 심정을 나는 여느 독자와 남다르게 받아들이는지도 모른다. 영어를 완벽하게 알아듣지 못한다는 사실이 노출되는 것에 신경을 곤두세우는 나는 Hanna 에게 남다른 연민을 느끼는 것이다.
글을 읽을줄 모른다는 사실을 감추기 위해서라면 차라리 전범재판에서 혐의를 뒤집어쓰고 감옥행을 택하는 한나. 그녀에게 그 수치감은 생존의 위중함과도 같은 무게를 지녔다.
자, 맛보기로 한번 읽어볼까.
Hanna could neither read nor write.
A도 아니고 B도 아니다. 즉, 한나는 읽을줄도 모리고 쓸줄도 모린다...
That was why she had had people read to her. That was why she had let me do
대과거. 뒤의 have는 사역동사임. let도 사역동사임. 목적어가
온다음엔 동사원형이 옴
all the writing and reading on our bicycle trip and why she had lost control that morning
앞의 That was why에 걸림
in the hotel when she found my note, realized I would assume she knew what it said and
주어가 생략됨/ 가정법임.과거사실의 반대임!
was afraid she'd be exposed. That was why she had avoided being prompted
be+p.p.이거 수동태임 avoid ~ing
by the streetcar company ; as a conductor she could conceal her weakness,
but it would have become obvious when she was being trained to become a driver.
가정법 과거완료; ~했을텐데... 수동태 과거진행형
That was why also she had refused the promotion at Siemens and become a guard.
앞의 she had에 연결됨.
That was why she had admitted to writing the report in order to escape a confrontation
~하기위해서
with an expert. Had she talked herself into a corner at the trial for the same reason?
Because she couldn't read the daughter's book or the indictment, couldn't see the openings
that절을 받는 선행사
that would allow her to build a defense, and thus could not prepare herself accordingly?
관계대명사 allow 목적어 to 부정사;목적어로 하여금 to 이하 하도록 허락하다..
Was that why she sent her chosen wards to Auschwitz? To silence them in case
they had noticed something? And was that why she always chose the weak ones in the first place?
Was that why? I could understand that she was ashamed at not being able to read or write,
be ashamed at, of /분사구문의 부정
and would rather drive me away than expose herself. I was no stranger to shame
앞의 I could에 걸림. rather than 차라리 ~하다. rather뒤에는 동사원형이 옴.
as the cause of behavior (that was deviant or defensive, secretive or misleading or hurtful).
원인을 나타내는 부사
But could Hanna's shame at being illiterate be sufficient reason for her behavior at the trial or
주어구문
in the camp? To accept exposure as a criminal for fear of being exposed as an illiterate?
앞의 reason for에 의미상으로 걸림
To commit crimes to avoid the same thing?
=being exposed as an illiterate
...
She accepted that she would be called to account, and simply did not wish to endure further exposure.
She was not pursuing her own interests but fighting for her own truth her own justice.
A가 아니라 B다 형태를 일치시켜야 함.
책을 읽을땐 마땅히 쭉쭉고고해야 하거늘 이렇게 언제 읽어내려갈 것인가. 하물며 소리를 들어서 실시간으로 구조를 파악하고 의미를 접수하기엔 내 뇌의 용량이 작은건지 사양이 낮은건지 그도 아니면 너무 오래 써서 그런지 암튼 내 뇌의 CPU에선 정보처리 속도가 느무 늦어서 소리는 듣되 의미는 안들리는 현상이 나타나는 거다. 말할 때도 바로바로 걸맞은 형태로 튀어나오기엔 얘들이 지들끼리 질서가 없어도 너무 없어서리. 난 언행일치는 하겠는데 시제일치, 형태일치 등이 참 어렵더라.
한나와 내가 다른 점이 있다면 한나는 노출이 될 상황에 맞닥뜨리면 격하게 분노를 표출한다는 것이고
내 경우 잘 못알아들겠으면 '그냥 웃지요...'로 대처할 때가 많다는 것이다. 바보같이...나도 이런 내가 마음에 안든다고...
영어 딸리는 것을 부끄러워 하지 말고 당당하라는 수많은 조언들에 수긍은 하지만 실제로는 좀처럼 당당해지기가 어렵다. 엄연한 공식어이자 절대다수의 공용어가 한국어인 대한민국 영토안에서조차 아주 희박하게 영어로 길 물어보는 외국인에게 그저 '영어 못해 송구한' 한국인의 모습은 쓸데없이 비굴한 태도라 자아비판할 노릇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영어를 쓰는 곳에서 영어 못하는 것에 아무렇지 않기란 어려운 일. 핸디캡은 핸디캡이다. 인정해야지. 영어의 부족분을 'attitude'로 채우고 사는 일, 그건 꽤나 감정적으로 피로한 일이라고.
딸아이가 어느 날 그런다. "엄마는 엄마 영어가 문제라고 그러는데...뭐 그렇게 못하는것도 아니야. 그래도 뭐 할 일 하고 다니잖아. 전에 비행기 티켓 잘못됐을 때도 그렇고...어떻게든 해결하잖아. 정말로 아주 못하면 그러지도 못해.."
아 왠일이니 네가? 그래 엄마는 어떻게든, 어.떻.게.든 하고 다니지. 그렇지. 매사 시크한 네가 이렇게 말해주니 엄마도 힘이 나는데? 우리 모녀사이가 훈훈모드로 전환되는것 같아 좋다얘~ 하려는 찰나 딸아이가 덧붙인다.
"근데에...pardon을 하려면 좀 바로 해야되지 않어? 생각하다가 pardon? 하면 그거 되게 웃기거든?"
...알쏘...빨리하께...
"She learned to read with you. She borrowed the books you read on tape out of the library,
and followed what she heard, word by word and sentence by sentence. The tape machine couldn't handle all that constant switching on and off, and rewinding and fast-forwarding.
It kept breaking to be repaired, and because that required permission, I finally found out
what Frau Schmitz was doing. She didn't want to tell me at first; when she also began to write,
and asked me for a writing manual, she didn't try to hide it any longer. She was also just proud
that she had succeeded, and wanted to share her happiness."
한나와 달리 글을 그럭저럭 읽을 수는 있지만 듣기 말하기가 어려운 나는 한나와 같은 방법으로 나의 영어를 끌어올리고 싶다. 할 수만 있다면 한나와 함께 스터디메이트가 되어 동병상련의 서러움을 극복하고 싶지만... 그건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한나는 영어가 아니라 독일어거덩.^^
'글 나부랭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제일 좋아하는 영어단어 (0) | 2016.05.18 |
---|---|
'Mother's day'의 원대한 포부 (0) | 2016.05.09 |
You know what to do (0) | 2016.04.28 |
good try (0) | 2016.04.10 |
한밤의 뻘짓 (0) | 2016.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