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만의 에세이 ‘허송세월’
건강위기 전후 2020년대 판본
앎-모름의 경계 삼엄한 문장
‘목줄’의 사유로까지 오롯이
- .



허송세월
김훈 지음 l 나남출판 l 1만8000원
작가 김훈(76)이 5년 만에 내놓은 새 산문집 제목은 ‘허송세월’이다. 2019년 출간된 ‘연필로 쓰기’ 이후 5년 만의 에세이, 소설도 치면 ‘하얼빈’ 이후 2년 만의 만남이다. 전후 작가는 아팠고 좀더 늙었다. 쉰둘에 펴낸 산문집 ‘자전거 여행’(2000)에서 서언과도 같이 사진 속 “눈 덮인 겨울 도마령을 홀로 넘어가는 ‘자전거를 탄 김훈’”은 이제 “오후 두어 시간쯤 햇볕을 쪼이면서 늘그막의 세월을 보낸다.”
24년치 이런 전이엔 반전이 있다. “혀가 빠지게 일했던 세월도 돌이켜보면 헛되어 보이는데, 햇볕을 쪼이면서 허송세월할 때 내 몸과 마음은 빛과 볕으로 가득 찬다. 나는 허송세월로 바쁘다.” 그땐 가서야 보이고 쓰이던 것들이 이젠 보이므로 가고 쓰게 되는 지경이랄까. 에세이 ‘허송세월’은 김훈의 2020년대 판본이다.
“‘안다’는 것은 책 읽고 나서 하는 말이 아니다. ‘안다’는 삶을 통과해 나온 후에 할 수 있는 말이다. 쓰기 어려운 말이다.”(19일 한겨레에 팩스로 보낸 서면 답변)


문학이 본디 그러할진대 특히 죽음을 빼고 김훈의 문학을 말하긴 어렵다. 장편 ‘칼의 노래’, ‘하얼빈’ 속 죽음은 물론이요, 2004년 이상문학상 받은 단편 ‘화장’, 가령 일평생 종교 아래 헌신하다 병들어 “기도 싫어요. 간구하면 잠이 더 안 와요. 신부님, 자고 싶어요, 영혼이 없었으면 좋겠어요” 토로하다 영면하는 늙은 수녀 이야기(‘저만치 혼자서’)까지…. 이 모든 죽음의 형색을 작가는 이렇게 갈무리한다.
죽음은 팩트주의자에게 팩트가 가장 자명해지는 때고, 결벽의 문장가에게 “웃자라서 쭉정이 같고, 들떠서 허깨비 같은 말들”이 겨우 퇴각하는 때다.
“목련꽃의 죽음은 느리고도 무겁다. (…) 그 꽃은 죽음이 요구하는 모든 고통을 다 바치고 나서야 비로소 떨어진다. 펄썩,(…) 그 무거운 소리로 목련은 살아 있는 동안의 중량감을 마감한다. (…) 가벼운 꽃은 가볍게 죽고 무거운 꽃은 무겁게 죽는데, 목련이 지고 나면 봄은 다 간 것이다.”
2000년 ‘자전거 여행’의 이 사유에서 변한 게 있다면, 봄꽃 대신 사철 부음이 휴대폰 문자로 당도한다는 점. 가고 오는 게 섭리인데 인간의 본성엔 가고말고가 없다.
죽음이 한 주제일 뿐, 이 산문 어느 한 대목도 염세나 비관과 거리가 멀다. ‘허송세월’이 자조가 아니듯 말이다. 되레 술, 담배에 관한 고백은 제아무리 문장의 밀도를 높일망정 독자들은 웃고 말 거다. 욕지거리, 악다구니, 상소리, 저주, 증오, 과장, 거짓말로 가득한 정치 현수막 아래 키스하는 청춘을 보러 세종로 간다거나, 대입수능일 욕망과 진심 충만한 학생들 보러 매해 학교 찾아간다는 그를 따라가고 싶다, 세월호·이태원 참사, 산재사망에 누구보다 통렬해지는 그를 따라 궐기하고 싶다.
이번 산문집에서 가장 눈에 띄는 단어로 ‘목줄’을 꼽는 이유이기도 하다. ‘목줄’은 인간을 형성하고 있는 불완전한 세상의 다른 말이거니와 억압과 비루의 상태, 목줄을 씌워 쥐려는 권력구조, 반전과 혁명의 역동, 역사 속 청춘-찰스 다윈, 정약전, 정약용, 이벽, 이승훈, 황사영, 안중근과 같은-에 대한 사무침, 그럼에도 엄연한 불가능성의 세계관을 압축하고 있다.
“인간은 짧은 줄에 목이 매여서 이념, 제도, 욕망, 언어, 가치, 인습 같은 강고한 말뚝에 묶여 있다.” 심지어 “어린이는 어른이 만든 목줄에 짧게 묶여 있다. (…) 다들 제 자식만 끌어안고 있으면 이 나라의 모든 어린이들은 ‘남의 자식’이 된다.”
과연 ‘목줄’은 어감만으로 읽는 이를 죈다. 김훈은 불완전한 생을 불완전한 언어로 불완전할지언정 써나갈 뿐이다. 이 믿음 때문이겠다. “불완전한 세상에는 그 불완전을 살아내는 불완전한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허약하지만 소중하다.” 전체 45편 글 가운데 ‘여덟 명의 아이들을 생각함’ 마지막 대목이다. 어떻게든 살아남은 아이들의 얘기다.
작가 김훈은 “건강”과 “몰골”을 이유로 대면 인터뷰는 마다했다. 팩스로 서면 인터뷰했다.
―다음 책을 준비하고 계십니까.
“나는 늘 계획이 없이 살아간다. 그러나 몇달씩 들어앉아 있다 보면 원고 부스러기들이 쌓인다. 대부분 버리는 것이기는 하지만.”
김훈은 계속 연필 깎고, “金薰(김훈)” 새겨진 원고지에 글 쓴다. “…세상의 목줄들이 헐거워지기를 소망한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넘의글 갈무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민과 탄핵 -정희진 (3) | 2024.11.19 |
---|---|
멀리서 빈다 - 나태주 (0) | 2024.08.19 |
딱딱하고 강해지는 한국어 [로버트 파우저, 사회의 언어] (0) | 2024.06.27 |
“강대국 패권 싸움, 전쟁 막는 길은 시민 연대뿐이다” (0) | 2024.06.01 |
[이은혜의 마음 읽기] 최고를 추구하는 사람들의 지루함 (0) | 2024.04.03 |